본문 바로가기

40대 아재 영어 정복하기

전치사 1 with 강성태 영문법 필수편 ⑧ - 40대 아재 영어공부 16

728x90
반응형
전치사 : 앞에 위치하는말 / preposition : '앞에'(pre), '위치'(position)하는것

전치사는 절대 그 자체로 혼자 쓰일 수 없으며, 항상 명사 역할을 하는 말(명사, 동명사, 대명사)과 함께 나옵니다.

예전에 튜터링으로 전화영어를 잠깐 했을 때, 항상 피드백 받았던 것이 '전치사 사용에 주의하라' 였어요~

전치사가 왜 이렇게 중요할까요?

 

영어를 배우면서 한 미국인 교수와 대화를 나웠다.
문법이 틀릴까 걱정하는 A씨에게 교수는

"문법 같은 건 너무 신경 쓰지 않아도 괜찮아요.
그부분은 의사소통에 그렇게까지 중요하지 않아요" 하며 일렀다.
그러자 안심한 A씨가 질문했다.
"그럼 전치사도 틀려도 되겠네요?" 그러자 교수는 대답했다.
"그건 절대 안 돼요."
- 짧은 말이 무기가 된다. 전자책 225p

전치사는 한국어의 조사와 같은 케이스입니다.

"물고기에게 먹이를 준다."

"물고기를 먹이에게 준다."

문장의 내용을 심각하게 오해하도록 만드는 이유가 조사를 잘못쓰는 경우죠. 영어에서는 전치사가 그렇습니다.

 

그러면 제가 공부한 전치사를 정리해 볼게요.

 

■ 문장이 길어지는 이유, '전치사 + 명사' 묶음 때문이다.

I bought a gift.

-나는 선물을 샀다.

I bought a gift for my girlfriend.

-나는 선물을 샀다. 여자친구를 위해

I bought a gift for my girlfriend at a department store.

-나는 선물을 샀다. 여자친구를 위해, 백화점에서

I bought a gift for my girlfriend at a department store in Jamsil.

-나는 선물을 샀다. 여자친구를 위해, 백화점에서, 잠실에 있는

I bought a gift for my girlfriend at a department store in Jamsil on Saturday.

-나는 선물을 샀다. 여자친구를 위해, 백화점에서, 잠실에 있는, 토요일에

문장에 수식어구가 붙기 때문에 문장이 길어지는 거에요. 한국말도 똑같지요.

 

■ at / on / in

  - 우리말로는 모두 '~에'라고 해석하지만 영어에서는 시간, 장소, 대상 등 문장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집니다.

    at < on < in의 순서로 가리키는 대상의 크기나 범위에 차이가 있지요.

 

□ at : 점, 면, 입체 중에서 '점'을 나타내는 개념이에요. (정확한 시각이나 위치를 말할때 쓰임.)

We take the school bus at 8:30.

-우리는 8시 30분에 버스를 탔다.

She wasn't present at the meeting today.

-그녀는 참석하지 않았다 미팅에, 오늘

 

□ on : 어떤 공간의 한면에 '붙어 있는' 것을 의미해요.

    (시간 표현에서 요일, 날짜 등 보통 하루 단위로 셀 수 있는것을 말할때 쓰임).

You'll see the restaurant on your left.

-너는 볼것이다 레스토랑을 너의 왼쪽에

I still have a scar on my leg.

-나는 여전히 가지고 있다, 흉터를 무릎에

on의 가장 일반적인 해석은 '~위에'이지만, 실제 영어 사용에서는 '붙어있는'이라는 뜻이 본질적인 의미에요.

벽에 옆으로 기대든(lean on thw wall), 바닥 위에 무릎을 꿇든(kneel on the floor), 

천장에 파리가 안자 있는(sit on the ceiling) 전부다 on을 씁니다.

추상적인 의미로는 어딘가에 계속 달라붙어서 매달린다는 뜻이 되므로 '지속한다'는 의미가 있어요.

go on도 '계속해서 나아가다, 진행하다'라는 의미가 되죠.

 

□ in : at이 점이라면 in은 작은 공간부터 엄청나게 큰 공간까지, '입체적인' 공간 안에 있을 때 쓰입니다.

분위기나 상황, 배경 등 추상적인 공간을 표현할 때도 쓰이지요.

There are no eggs in the fridge.

-냉장고 안에는 계란이 없다.

She spoke in a low voice.

-그녀는 낮은 목소리로 말했다.

 

■ before / after / from / to

  - before와 after의 어원은 '앞'과 '뒤'이지만, 실제로는 위치보다는 시간상 '이전, 이후'를 나타낼때 쓰여요

    from과 to는 정해진 범위의 처음과 끝, 움직임에서의 출발과 도착을 나타냅니다.

 

□ before : 시간상 앞에 일어난 일, 진행 순서상 앞선 일을 말할 때 쓰여요.

어떤 사물이나 공간의 앞을 말할 때도 쓰지만, 공간적으로 앞에 있는 것은 흔히 in front of를 사용합니다.    

We can decorate the classroom before the party.

- 우리는 꾸밀수 있다. 교실을 파티전에

I booked the ticket before you.

-나는 예약했다 티켓을 너보다 먼저.

 

□ after : 시간상 그 다음을 가리키기도 하고, 공간적으로 뒤쪽을 가리키기도한다.

뒤이어 계속 나타난다는뜻에서 반복을 나타내기도 한다.

Drink plenty of water after exercising.

- 마셔라 많은 양의 물을 운동 후에.

The same problem occurs day after day.

- 똑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날마다.

I need someone to look after my dog.

-나는 필요하다 누군가가 돌바줄 나의 강아지를

 

□ from : 범위의 시작점, 방향이나 움직임의 출발점을 뜻해요.

'~로부터' 왔다는 뜻에서 '기원(출처), 원인, 재료'를 뜻하기도 합니다.

She took a bus from Busan.

- 그녀는 부산에서 버스를 탔다.

These items are made from recycled materials.

- 이 상품들은 재활용 물질로 만들어집니다.

 

□ to : 범위의 맨 끝, 방향이나 움직임의 도착점을 뜻합니다.

from A to B(~에서, ~까지)의 전치사구 형태로 자주 쓰이고요,

서로 '에게' 가져가 비교해 본다는 뜻에서 비교 대상을 나타내기도 해요.

I'm working from eight to four.

- 나는 일하고 있다 8시부터 4시까지.

We will compare the results to the previous data.

- 우리는 결과와 이전 데이터를 비교해 볼거에요.

 

* 전치사 to는 어디로 보내는지를 말한다.

get[be] married to(~와 결혼하다)라는 수동태 관용 표현이 있죠.

우리말에서 '~와' 결혼한다고 말하기 때문에 전치사 with를 쓸것 같지만, to를 사용합니다.

marry의 어원은 '젊은여성'이라는 뜻의 mari인데요,

우리나라에서도 '시집을 보낸다'라는 표현이 있듯이,

남녀 차별이 심했던 과거엔 여자를 남자에게 보내는 것이 결혼의 개녕이였다고 하네요.

그래서 to는 도착 지점을 의미하므로 신부를 보내서 받는 쪽, 즉 신랑을 나타내기 위해 to를 사용했데요.

 

전치사를 총 3개 part로 작성할 예정인데요.

오늘은 첫번째 part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쉬운것 같지만 어려운 전치사 천천히 공부해 보아요.

 

언제나 조금씩 성장하는 오늘을 위해~

열심히 공부해보아요!!

성장하는 오늘을 위해 화이팅!!

 

- 성장하는 40대 아재

728x90
반응형